2019년 5월 6일 부터 6월 3일까지 HBO에서 방영한 5부작드라마로 제목에서 알 수 있듯 1986년 4월 26일 일어난 체르노빌 원전 폭발사고를 다루고 있으며, 고증의 HBO 답게 방대한 자료 조사를 기반으로 상당히 고증에 신경 썼다는 평가를 받은 드라마 입니다.

줄거리는 단순히 끔찍한 사고가 터지고 그 사고를 수습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 이지만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물들 간의 갈등, 당시 소련의 관료주의적 요소들이 사고의 원인이 되는 동시에 사후에도 사고 수습을 더 힘들게 하는 과정들을 가감없이 그려내고 있습니다. 그런 과정들이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비춰지며 많은 생각을 하게하는 드라마였습니다.

개인적 의견으로는 사고가 터진 후 레가소프 교수가 정부로 소환될 때까지만 집중력을 잃지 않고 잘 보신다면, 그 뒤부터는 몰입도가 상당했던 것 같습니다. 

 

그럼 본 포스팅에서는 드라마에서 중심이 되는 인물이자 실존 인물들인 레가소프 교수와, 세르비나 장관에 대해 탐구해보겠습니다!

 

발레리 레가소프

 

 발레리 레가소프 실제 인물과 배우 자레드 헤리스(벨레리 레가소프 역)

 

체르노빌 원자력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활동하는 인물로 사고 이전에는 소련의 모스크바 주립 대학 화학기술과 학장으로 저명한 과학자중 한명이었습니다. 

체르노빌 사건 발생 후에는 조사 위원회 소속으로 당시 모든 사건의 발생 원인과 그 과정들을 상세히 조사하여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는 데 온 힘을 쏟았습니다.

 

하지만 소련 정부의 압력을 받아 국제 원자력 기구 회의에서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원자로의 결함이 아닌 당시 원자로를 운영했던 연구원들의 과실이라고 말하며, 사고의 원인을 연구원들의 책임으로 돌림으로써 소련 정부의 원자로 결함 은폐에 조력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후 그는 사고 발생 후 2년이 되는 해에 자신의 집 아파트에서 목을 매고 자살함으로써 자신의 거짓 증언을 속죄합니다. 당시 그는 죽기 전에 테이프와 자신의 조사 보고서를 남겼다고 하는데, 그걸 BBC에서 엮어서 다큐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드라마 체르노빌은 이 인물이 자살하는 장면으로 시작합니다. 제작진에 의하면 첫 장면부터 갑작스레 자살하는 장면부터 보여줌으로써 드라마를 보는 내내 왜 이 인물이 이런 극단적인 선택을 했나 흥미를 가지게 되는 묘수를 둔 것이라고 합니다.

 

 


앞서 언급했던 드라마의 몰입이 시작되었던 장면은 레가소프 교수가 사고 수습을 위한 정부 각료 회의에 소환되어 사전에 보고서를 읽은 과정에서 '소방관들이 바닥에 떨어진 검은 광물질을 주웠다가 화상을 입었다.'는 보고서를 읽고 소위 '멘붕'에 빠지는 장면입니다. 보고서를 읽어 내려가면서 점점 경악하는 표정 변화가 압권입니다.

 

공산당 최고 위원회 회의에 참석해서 별 일 없다고 위장된 보고만을 듣고 회의가 종료되려는 순간 사람들을 붙잡은 뒤, 흑연이 밖으로 튀어나왔다는 건 원자로 내부의 노심 폭발이란 뜻이고 소방관들은 방사능 화상이 분명하다고 강력하게 주장합니다. 위계가 엄격한 소련의 각료 회의에서 외부 교수의 대범한(?) 행동은 순간 분위기를 싸하게 만듭니다. 결국 고르바초프는 전력부 장관인 셰르비나에게 레가소프와 함께 가서체르노빌로 직접 가서 사태를 확인하라고 지시하는데, 처음에는 레가소프를 못마땅해 하다가 이후 최선을 다해 사건의 규모를 설명하고 수습에 나서는 모습을 보면서 레가소프를 신뢰하게 되어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사태 수습의 주역이 됩니다.

드라마는 처음에 보여줬던 장면 즉, 레가소프가 KGB에 의해 자택 구금 생활을 하다 자살을 선택하는 것으로 끝이납니다. 실제로 그의 발표와 자살로 인해 수많은 과학자들이 투옥과 숙청의 위협을 무릅쓰고 원자로 결함 보수를 주장하여 결국 남아있는 원자로의 개량을 이끌어내 두 번 다시 같은 참사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 엄청난 공을 세웠다고 합니다.

+ Recent posts